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

연구개발

R&D

연구개발 실적

방화막 시스템 기술개발
특징
적용 특허 기술
  • - 제 10-171960호 (특허권자 : (주)티디에이)
  • - 유압브레이크를 이용한 세이프티 커튼의 낙하 속도 제어 시스템
우수성
대한민국 KS, 독일 DIN, EN규격을 만족
  • - 비상 폐쇄 작동 시 30초 이내의 방화막 하강
  • - 비상폐쇄 시 피난의 안전을 위해 무대 위 2.5m 지점부터 감속 제어
  • - 낙하속도 제어가 안정됨 (프로니시엄 높이 따라 속도 조절이 가능)
신뢰성
  • - 비상 폐쇄 시험 : 120회 실시 (1회 X 12월 X 10년)
  • - 평상 구동 시험 : 2400회 실시 (20회 X 12월 X 10년)
  • - 동력이송장치의 내화 시험
*평상구동
  • - 3m / min 이상 작동, Up / Dn
  • - 프로니시엄보드나 인테리어마감 후 메인 커텐 대용으로 사용 가능
*비상 폐쇄
  • - 비상폐쇄 시간은 30초 이내
  • - 무대 면 2.5m부터 1차 감속
  • - 무대 면 1m 부터 2차 감속

비상폐쇄 작동방식

  • 01
    비상 폐쇄 버튼의
    수동 작동을 통한 비상 폐쇄
  • 02
    콘솔에서 비상 폐쇄 스위치
    비상 폐쇄
  • 03
    건물 전체 소방관제신호
    의한 비상 폐쇄 (옵션)
  • 04
    소방화재감 후 자동으로
    비상폐쇄 (옵션)

방화막 시스템의 우수성

내화 성능 내압 성능 차연 성능
비차열 1시간 이내 500 Pa이상 500 Pa이상
국가 공인시험인증기관으로부터 전 분야 성능 입증

시스템의 구성

고양아람누리 아람극장 방화막 제작 설치

방화막 시스템 필드 테스트

아람누리 오페라극장 방화막시스템 최종 테스트 (2019/09. 10톤 비상 자유낙하)

방화막 패널 방화시험

  • 방화 성능 테스트 전 사진
  • 방화 성능 테스트 30분 후 사진
  • 방화 성능 테스트 60분 후 사진
스테이지 플라잉 로봇 시스템 기술개발
스테이지 플라잉 로봇 (SFRS) 드라이빙 시스템
  • - 뮤지컬 캣츠의 타이어 플라잉에 사용되는 스테이지 오토메이션장치에 대한 정량적 메커니즘과 현대 뮤지컬에서
    스테이지 오토메이션 테크놀로지에 대한 정밀 분석
  • - 직교로봇의 요소기술과 자립식 기어구동장치의 융합(특허번호 0956073)
  • - 스테이지 플라잉 로봇의 제어를 위해 기존 제어 방식의 프로그래밍 코딩
범위
  • - 스테이지 플라잉 로봇 제작 설계
  • - 업 / 다운 드라이빙 시스템
  • - 전 / 후진 드라이빙 시스템
  • - 리벌빙 드라이빙 시스템
기본사양
  • 허용 하중 : 600 KG |크기 : 2,200W X 4,700D
상/하강 메커니즘
  • 속도 : 0 ~ 5.8M/Min |행정 거리 : 0 ~ 2,200mm
전/후방 이동 메커니즘
  • 속도 : 0~ 8M/Min|행정 거리 : 0 ~ 4,000mm
회전 메커니즘
  • 속도 : 0 ~ 3。 0/sec|행정 각도 : 0 ~120。

뮤지컬 “바람과 함께 사라지다” stage Automation

예술의 전당 오페라 하우스 2015.1.9 ~ 2.15

1막의 마지막 장, 여주인공인 스칼렛 오하라가 무대에서
부상하며 신께 맹세하는 장면에 Stage Flying Robot System이
적용되었다.